MBTI - ISFJ 유형 특징과 빙고
글 작성자: 빌하임

 

MBTI - ISFJ 유형 특징과 빙고

MBTI ISFJ 유형 대표이미지
ISFJ 유형 - 16 Pesonailities

 

안녕하세요. 생산성 1번지, 빌하임입니다. 이 글은 ISFJ 유형에 대해 다룹니다.

 

공식 확인된 연예인은 예지(ITZY), 도영(NCT), 야부키 나코(아이즈원), 최강창민(동방신기), 주호민(작가), 비니(오마이걸), 나르샤(브아걸), 장도연 등이 있습니다.

 

이해를 돕기위한 설명이 아래 서론에 붙었습니다. 서론이 긴 만큼 ISFJ 유형 특징 맞춤형 MBTI 빙고를 통해 먼저 간단히 알아보시고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빌하임이 자체제작한 ISFJ 빙고
MBTI 빙고는 어디까지나 재미삼아 보는 것입니다.

 

 

한국 고전문학을 읽어보셨나요? 향가, 시조, 전설, 소설 등에서는 자연을 벗 삼고, 동식물에 빗대어 조화와 충성 등을 이야기합니다. 이러한 물아일체, 유유자적, 상호화합, 애국충절은 국민의 정서에 녹아 오늘날에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좋게 찾자면 위기에 똘똘 뭉치는 정신이고 나쁘게 이야기하자면 냄비근성이지요. 그러나 아무리 스스로 냄비근성이라고 비하 하더라도 그러한 비판으로 국민성을 돌아볼 계기를 만들어왔고 우리 특유의 조화와 멋의 사상은 지금까지 이어져 국민협조와 상호 배려로 코로나19 사태를 이겨내며 국제사회의 귀감이 되고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ISFJ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한국 전통 이미지
실용적이며 조화를 중시하는 한국인의 멋

 

 

대한민국 사회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는 I(내향)S(감각) 유형의 첫 포스팅으로서 대략적인 정서를 예로 들어보았습니다. 서론이 길었습니다. 그럼 거두절미하고 가장 생산적인 방법으로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거두절미

 

 

 

#ISFJ 유형 특징 요약

 

빌하임의 생각 :

“ISFJ는 비브라늄 방패 없는 캡틴 아메리카”

 

ISFJ유형으로 알려진 캡틴 아메리카
영화 '윈터솔져' 中 (출처 : 네이버 스틸컷)

 

"책임과 헌신을 다해 많은 것들을 해주려하지만 정작 스스로 지킬 방패가 없다."

 

 

#책임과 헌신

이들은 가족과 주변인에게 충실한 경향을 보입니다.

 

ISFJ유형의 책임과 헌신을 나타내기 위한 영화 국제시장 스틸컷
영화 '국제시장' 스틸컷

 

ISFJ유형인 저의 아버지도 언제나 최선을 다했고 누구에게나 믿을만한 사람으로 여겨져 왔으며, 이것을 역이용하는 사람들도 많았습니다. ISFJ유형의 진실 되고 헌신적 측면을 이용해서 돈을 쉽게 빌려가서 갚지 않기도 하고, 이들의 심리적 성향을 이용해서 말도 안 되는 말로 사기를 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ISFJ가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심리적 단단함과 무기를 갖추지 않으면 세상을 사는 것이 다른 유형들 보다는 살짝 고달프게 느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안정감 - 서번트 리더십

리더 혹은 팀장의 모습을 상상해보자면, 외향적이고, 멤버의 역할을 지시하며, 카리스마있는 전형적인 리더의 모습을 떠올리곤 합니다. 그러나 이외로 많은 조직 혹은 그룹에서 그와는 정 반대처럼 보이는 ISFJ 유형들이 리더를 맡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그들이 뿜어내는 아우라, 가장 큰 ISFJ 장점인 안정감 때문입니다. ISFJ 연애에 있어 상대방 역시 이것을 장점으로 꼽습니다.

 

 

ISFJ유형의 장점인 안정감은 리더 역할도 충분히 소화할 수 있다
주목받고 싶지만 그렇다고 튀고 싶지는 않아.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할 때 ISFJ유형 리더는 묵묵히 바라보며 그들의 감정을 세심하게 기억하려 애씁니다. 이렇게 내향적 기질에도 불구하고 타인과의 교류에 관심이 많아 내성적인 유형중에는 가장 외향적이라고 합니다. 구성원에 대한 디테일한 기억과 정보를 바탕으로 문제 해결에 있어서 만큼은 도약하지 않고 현실적인 판단을 내리려 합니다. 이러한 침착한 태도는 팀원들이 일관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리더가 곧 팀의 상징이며, 정체성이기 때문에 리더의 반응을 팀의 반응으로 받아들이기 쉽다."

 

리더가 변덕 없이 안정된 반응을 보인다면, 각자의 행동이 팀에 미칠 영향을 예측하게 하여 강제적 협력이 아닌 자발적 협력을 이끌어냅니다. 이것이 리더의 재질에 부합하는 이유입니다.

 

그러나 ISFJ의 단점은 이러한 묵묵함이 자칫하면 회피성향으로 보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갈등을 감수하고라도 필요할 때는 분명하고 명확하게 말을 하며, 쓴 소리라도 하는 악역도 자처해야 합니다. 굳이 본인이 말하지 않아도 남들이 알아서 파악하고 해주며, 도리에 따라 행동하길 기다리는 마음은 이해하지만, 예민한 사람들은 이런 ISFJ의 눈치를 살피느라 지금도 고생하고 있을 수 있으니까요.

 

 

#소속감

가장 대중적인 MBTI 16 Personalities에서는 ISFJ 유형을 수호자라고 합니다. 영어로는 Defender입니다. ISFJ는 일단 자기 사람이라고 판단이 되면 이들을 위한 헌신과 책임을 아끼지 않습니다. 현실세계에서(IS) 함께하는 사람들을 통해 느낄 수 있는 감정을 중시하고(F) 그에 따른 판단을 통해 할 수 있는 일들을 차근차근 수행해 나가기 때문입니다(J).

 

이런 모습들은 타인에게 믿음을 주고 또 어려움을 굳건히 이겨나갈 수 있는 행동 준거의 토대를 세웁니다. 그러나 이들에게 필요한건 어디까지나 적당한 수준의 소속감이지 많은 사람이 아닙니다. 예민한 탓에 생각할 것들이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일단 이들의 눈밖에 벗어나면 참 되돌리기 어렵습니다. 소가 소화를 위해 여물을 다시 꺼내 씹듯이 ISFJ도 자신의 생각을 소화하기 위해 반추합니다. 이들에게 속마음을 꺼내 남에게 말하는 일은 마치 소화안된 음식을 토하는 느낌과 같을 것입니다.

 

그래서 상대방은 ISFJ유형들이 겉보기엔 문제없지만 사실은 자신에게 맺힌 것이 많았다는 것도 평생 알지 못한 채 눈을 감을 수도 있습니다. 굳이 나쁘게 말하면 영역 밖의 사람한텐 매정하고, 아주 뒤끝이 심한 유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MBTI 매운맛 - ISFJ 유형

MBTI 매운맛 - ISFJ 유형 안녕하세요. 빌하임입니다. 이번 글은 MBTI 매운맛 ISFJ 유형편입니다. 매운맛 시리즈는 ISFJ 단점을 서술합니다. 직접 관찰했을 뿐만 아니라 ISFJ 유형과 가까운 사람들의 의견

sexybill.tistory.com

 

ISFJ유형의 단점인 배타성을 상징하는 그림
ISFJ에게 밉보인다는 것은 어쩌면 다른 색이 칠해진 것과 같을지도 모른다. 다시 받아들여지더라도, 다른 것과 구분이 될 정도로.

그러나 이들에게 상식적인 행동과 원칙, 적어도 ISFJ가 챙겨주는 만큼은 기브 앤 테이크, 사회에서 요구하는 예의범절을 갖춘다면 적어도 점수 잃을 일은 없을 것입니다.

 

 

#인내심

관계를 중시하는 사람의 특징은 외로움에 취약하다는 것인데, 내성적인 성격탓에 새로운 관계 맺음이 어려울수록 이미 맺어진 관계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ISFJ는 자신이 속한 사회 안에서는 속앓이를 할 정도로 참고 또 참으며 사람들에게 쉽게 쓴 소리를 하지 못합니다. 타인의 표정과 감정에 예민한 ISFJ는 자신처럼 남들도 알아서 눈치 채기 바랄 뿐이죠. 실제로 이런 특성으로 인해 ISFJ 직업 선택 시 사람을 상대하는 일, 서비스직, 교육업 등에 두각을 나타내며 적성을 보이기도 합니다.

 

정말 인내심이 많은 것은 장점이나, 이것으로 인해 오해가 발생합니다. 참고 참다가 터뜨린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정작 이들 주변의 사람은 ISFJ가 인내해왔다는 것조차 모를 때가 많아서 이들이 화낼때는 마치 분노조절장애처럼 보이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언제나 참기를 택하고 또 다수의 통념과 의견에 따르기 보다는 자신의 이야기에 더 귀를 기울이고, 그것을 말하며 무소의 뿔처럼 가신다면 좋을 것입니다. 그렇게 혼자있어도 괜찮을 때, 또는 타인을 독대할때 ISFJ은 내면의 빛을 더 발하기 쉽습니다.

 

"나는 힘과 자신감을 찾아 항상 바깥으로 눈을 돌렸지만, 자신감은 내면에서 나온다. 자신감은 항상 그 곳에 있다." - 안나 프로이트

 


 

글을 마치며

ISFJ유형은 자신의 감정을 돌아보는 것이 중요함
이제는 그만 고치고 쉬셔도 됩니다.

현실적인 태도는 좋습니다. 하지만 이러저런 현실에만 초점을 맞추어, 자신의 감정을 의심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자신의 감정은 언제나 100% 정답이니까요."

 

그러니 표현해도 됩니다. 그럴 자격 있도록 살아왔으니까요.

이상 빌하임이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